TIL + WIL

[2025.03.10] TIL

H JIWON 2025. 3. 10. 21:19

🗓️ 오늘의 일정

- 강의 2, 3주차 듣기


✏️ 디자인 카타

🔷 CH 4 디자인 심화 주차

📢 컴포넌트

- 우리 조는 버튼이 배정되었다.

- 나는 먼저 버튼에 대한 정의와 종류를 먼저 찾아보았다. OS별로 부르는 이름이나, 원칙들이 달라서 먼저 알아둔 다음 이에 맞는 예시 이미지를 찾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내일은 예시 이미지를 찾은 다음 이게 어떤 버튼인지 이름과 기능을 다시 쓰고

- 해당 버튼이 Do인지 Don't인지 오늘 찾은 버튼 디자인 원칙에 근거하여 판단해보려고 한다...

- 1시간 안에 할 수 있겠지?


✏️ UX 기획  리서치 2~3주차

🔷 2주차

📢 유저 리서치

1. 유저 리서치란?

- 유저 리서치는 비즈니스의 모든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 정의: 유저의 행동과 동기를 특정 맥락에서 조사하여 제품 혹은 서비스 개선에 유용한 인사이트를 얻는 활동

 

2. 유저 리서치의 중요성

- 유저 리서치는 조직 내의 유저 이해도를 높이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도와준다.

- 유저에 대한 이해도 강화

  • 유저의 행동과 동기를 파악할 수 있다
  • 해결해야 할 새로운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

  • 의사 결정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 사전에 문제를 미리 발견하고 수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이후 각 종류와 쓰임새를 알아보았다.

 

🔷 3주차

📢 리서치 결과 정리하기

- 이게 핵심이라고 하셨다.

- 이렇게 여러 기준, 관점에 맞춰 정보를 분류하며 서로 다른 관점 아래의 정보들을 이어 새로운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하셨다... 어려운데?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먼저 데이터를 비슷한 것끼리 분류하고, 그 후에 키워드를 붙여 분류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 사실 이 기법이 왜 그렇게 중요하게 평가될까 항상 의문이었는데, 문제를 전체적으로 시각화하여 조망할 수 있고 연관성에 따라 그룹핑하고 헤더를 붙이는 과정에서 데이터 사이에 숨어 있던 새로운 의미가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듣고 이유를 이해할 수 있었다.


🗒️ TIL

✨ 오늘 새롭게 알게 된 내용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의 의의

 

오늘 있었던 어려움

-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과제를 잘 못 끝냄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내가 시도한 것과 해결 방법

- AI의 도움을 받아 이러이러한 상황에서 내가 어떻게 하면 좋겠냐고 물었더니, 프로세스를 마련해줘서 행동 방식을 좀 정할 수 있었다!

 

오늘의 회고와 발전 방향

- 내일 디자인 카타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