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5.03.07] WIL

아 토할 거 같아


🗓️ 오늘의 일정

- 강의 듣기


🗒️ WIL

✨ 오늘의 사건

- 새 팀 결성

- 다들 좋은 분

- 강의 수강

- 너무 어려웠음 내일 다시 보면서 정리할 것

- 토할 것 같음 어지러움 

- 그러나 금요일임 괜찮음

- UX는 어려움...

 

✨ 오늘의 배운 점

- 계속 UX와 UI를 헷갈렸는데 좀 이해가 되었음

 

  1. 발견(Discover) 단계
    • 무엇이 문제인지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단계예요.
    • 유저 리서치를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문제가 여러 개 발견될 수도 있어요.
    • 대표적인 활동 : 유저 리서치 (데스크 리서치, 필드 리서치)
  2. 정의(Define) 단계
    • 집중할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하는 단계예요.
    • 유저 리서치 결과물을 분석하고 정리하며, 이 과정에서 어떤 문제에 집중할 지 논리를 정립해요.
    • 대표적인 활동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유저 페르소나 작성 등
  3. 발전(Develop) 단계
    •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데이션을 진행하는 단계예요.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산하되, 제한을 두기보다 다양한 방향을 열어두고 고민하는 것이 중요해요.
    • 대표적인 활동 : 정보구조도, 와이어프레임 등
  4. 전달(Deliver) 단계
    • 디자인을 구현하여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예요.
    • 프로토타입 제작 후 사용성 테스트를 해보면서 개선을 거듭해요.
    • 대표적인 활동 : 최종 프로토타입, 사용성 테스트 등

- 솔직히 혼자였으면 이런 체계적인 프로세스도 다 무시했을텐데 반성됐음...

 

- MVP: 최소한의 리소스로 앞으로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할 가치가 있을 지 판단하는 것

- 솔직히 MVP는 나처럼 의욕 없는 애가 하기에는 힘든 것 같다. 이럴 때 열심히 해봐야지!

 

- 데이터 드리븐

  • 유저 관여도 관점 (Engagement)
    • 얼마나 많이 이용하는가? - DAU, WAU, MAU
    • 얼마나 자주 이용하는가? - DAU/MAU, DAU/WAU
  • 유저 재방문 관점 (Retention)
    • 특정한 특성의 유저들이 재방문하는가? - 코호트 리텐션
    • N일째 된 유저들이 재방문하는가? - Day N 리텐션
  • 유저 획득 관점 (Acquisition)
    • 얼마나 보는가? - 페이지 뷰 수, 클릭 뷰 수
    • 얼마나 획득되는가? - 전환율, 이탈율

- 데이터 없이 대체 어떻게 디자인할 수 있을까? 논리적인 판단에 꼭 필수적인 것 같다.

 

오늘의 회고와 발전 방향

- 월요일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