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 Article

(9)
[Article] 신입디자이너를 위한 IA 알아보기 출처: https://story.pxd.co.kr/1600 0. 요약- IA란 무엇인가- IA는 네비게이션이 아니다- 사용자/컨텐츠/운영자의 입장- 구체화 방법- 실제 시각화될 화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1. 배운 것- IA: Information Architecture의 줄임말이다. 서비스 전체의 구조를 뜻한다. 각 페이지에 어떤 경로로 입장할 수 있고 계층이 어느 단계로 구성될 지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목적이 무엇인, 목적 달성에 필요한 태스크, 태스크의 난이도 -> 데이터 분석, 사용자 인터뷰, 타 레퍼런스 참고- 컨텐츠: 개별 컨텐츠가 담고 있는 정보의 종류, 정보의 볼륨, 기존 구조 -> 기존 IA 분석을 통해 각 컨텐츠의 존재 이유, 구성 이유, 위치의 이유 등을 명확히 이해하고 ..
[Article] 모임 앱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 앱 개선 by Chloe 0. 요약- 앱 개선 시 고려 사항 1. 배운 점- 아이콘의 형태와 그 의미의 연결- 최소 복잡성을 유지한 채 정보를 간단하게 정리하는 방법- 레퍼런스 참고의 중요성- 컬러의 대비 테스트는 사전에- 브랜드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가치가 무엇인가? 항상 고민할 것- 임시 저장 기능을 통해 끊김 없는 탐색 플로우 마련- 중요도의 우선순위. 'A 정보가 B 정보보다 먼저 전달되어야 한다', 'C 정보는 필수적이지 않으니 후순위에 배치한다' 등, 이러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수많은 레퍼런스를 탐색하고 경험이 쌓여야 능숙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 같다. 3. 앞으로의 과제- 많은 UI를 살펴보고, 어떤 기능과 정보가 들어가 있는지 또 어떤 순서/크기/볼륨으로 배치되어 있는지 디자이너..
[Article] AI 투자 일임 서비스 핀트(Fint), 프로덕트 분석 by wave to earth 출처: https://brunch.co.kr/@bestversionofh/3 0. 요약- 통일된 단위/어휘의 사용의 중요성- 플로우 단축에서 우선순위를 어떻게 고려해야 할 것인가?- UX/UI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브랜드/사업/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1. 타겟 분석과 서비스 제공- 20대, 투자에 대한 지식 부족, 그러나 빠르고 쉽게 투자하고 싶은 욕구 -> AI가 운용하는 투자 설계에 돈만 맡기면 되는 시스템 제공- AI의 도움을 받아 투자 가능 ->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 이후 중장년층 고객도 증가- 즉, 고객의 니즈를 분석해야 진정 이익을 낼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것. 2. 신규 고객 VS 기존 고객- 목표 달성 투자와 꾸준히 ..
[Article] 한눈에 보는 UI 용어 A to Z 출처: https://brunch.co.kr/@tigrisdesign/2 1. 요약디자인 부서 내, 또는 유관 부서 간 원활한 소통을 위해 통일된 용어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파일 명과 양식을 배포하고, 이름 형식을 약속하는 등 부단한 노력이 강조된다. 특히 UI 컴포넌트 용어는 나라마다, 회사마다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통일되지 않은 경우 개발팀과 디자인팀 간 혼란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를 위해 한번쯤 정리하고 가는 것이 좋다. 2. 인사이트2-1. 좋았던 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사용되는 주요 컴포넌트의 이름과 시각적 자료, 짧은 부가 설이 함께 매치되어서 한눈에 이해할 수 있었다. 2-2. 아쉬웠던 점모바일 위주로 소개되어 웹에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기 어..
목록에서 상세 정보를 얼마나 보여주는 게 좋을까? by 요니 출처: https://brunch.co.kr/@yonniek/15 같은 이커머스 장르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쇼핑 동기를 고려하여 사용자 경험 설계가 달라진다는 걸 알 수 있었다. 특히 최대한 단순하게 디자인하는 게 좋지 않나 생각했던 것과 다르게, 줄일 수 없는 최소한의 복잡성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사용자가 감당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는 것도 배울 수 있었다. 요약사용자의 쇼핑 유형은 목적형과 발견형으로 나뉜다. 이러한 맥락에 따라 디자인 설계 방식도 달라진다.예를 들어 목적형 사용자의 경우 배송 기간이나 가격 비교처럼 실용성에 중점을 둘 가능성이 높고, 발견형 사용자의 경우 정보를 훑어보며 비교적 자유로운 탐색에 중점을 둘 가능성이 높다. 모든 유형에 들어맞기를 기대하는 것보다, 서비스의 성격을 고려하여 ..
[Article] 게임 속 팝업의 버튼 UX 디자인 - 좋은 사례 VS 나쁜 사례 by 하얀선 출처: https://prettygoodsun.tistory.com/42 불필요한 어포던스를 가진 버튼은 삭제하는 것이 낫다는 것을 알았다. 다만 게임에서 버전 업데이트를 요구하는 상황 외의 다른 용례에서도 적용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어서, 더 찾아봐야 했다. 요약. 어포던스란?디자인 요소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행동 가능성을 뜻한다. 각 요소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상호 작용이 가능한지를 드러낸다. 즉, 사용자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시각적 엘리먼트와 언어적 요소;UX 라이팅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적, 지각적 능력과 목표, 멘탈 모델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적용해야 한다. HCI 전문가 Rex Hartson은 어포던스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
[Article] 사용자 인터뷰로 숨은 니즈 발견하기 by 재민 출처: https://brunch.co.kr/@maju/42 좋았던 점: 대표적인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의 단계를 이해할 수 있었고, 또 필드 리서치의 중요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아쉬웠던 점: 다만 더 자세한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해당 글에서 참고하였다는 책 『사용자의 숨겨진 마음을 읽는 리서치 기술』, 『이것이 UX/UI 디자인이다』를 읽어보는 게 좋을 것 같았다. 요약: 사용자 인터뷰0. 목적 사용자 인터뷰는 필드 리서치의 한 종류이다. 이의 목적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실행 시기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상단의 모델은 서비스 디자인을 진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이다. 필드 리서치는 해당 모델의 Discover 단계에서 실행된다. 서비스 현황을 이해하고 문제점을 찾는 단계로서, 데..
[Article] 인지 부하를 줄이는 UX 디자인의 비밀 by 우디 출처: https://brunch.co.kr/@cliche-cliche/209 사용자의 인지는 비용이다. 쓰면 사라진다. 무한하지 않은 자원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 비용을 무의미하게 소비하지 않게끔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즉, 간결함과 명확성, 직관적인 내비게이션, 청킹, 시각적 계층화, 피드백과 가이드, 일관성, 유저 테스트와 반복 등 인지부하를 줄이는 방법은 곧 사용자가 목적지에 쉽고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전략이다. 다만 구체적인 인터페이스의 용례를 알기 어려워서 스스로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모범 사례를 더 알아보기 위해 UX 법칙 10가지를 조사하여, 그 중 인상 깊었던 것을 발췌해 보았다. Law of UX (출처: https://l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