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 Article

[Article] 신입디자이너를 위한 IA 알아보기

출처: https://story.pxd.co.kr/1600

 

0. 요약

- IA란 무엇인가

- IA는 네비게이션이 아니다

- 사용자/컨텐츠/운영자의 입장

- 구체화 방법

- 실제 시각화될 화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1. 배운 것

- IA: Information Architecture의 줄임말이다. 서비스 전체의 구조를 뜻한다. 각 페이지에 어떤 경로로 입장할 수 있고 계층이 어느 단계로 구성될 지를 파악할 수 있다.

- 사용자: 목적이 무엇인, 목적 달성에 필요한 태스크, 태스크의 난이도 -> 데이터 분석, 사용자 인터뷰, 타 레퍼런스 참고

- 컨텐츠: 개별 컨텐츠가 담고 있는 정보의 종류, 정보의 볼륨, 기존 구조 -> 기존 IA 분석을 통해 각 컨텐츠의 존재 이유, 구성 이유, 위치의 이유 등을 명확히 이해하고 개선해야 한다.

- 운영자: 비즈니스 목표, 정책, 기술/자금 규모/인력구조: 회사에서 고려해야 하는-꼭 지켜야 하는- 부분이다. -> 현실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다. 이 부분은 기능명세서/정책기술서에서 작성된 사항을 고려하면 될 듯?


- IA 구체화하는 방법

  1. 구조화하는 방법 (Organization System)
    • 들어가야 할 정보를 나열 -> 분류 기준을 정해서 기준에 따라 정보 분류 -> 공통 규칙 지정하여 분류 형식 구성 -> 정보 연결(https://rachelaliana.medium.com/platform-structures-a278333b4d27)
    • 예: 디즈니랜드-시설 위치, 대한항공-사용자의 여정(예약, 여행 준비,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 이커머스-상품 카테고리
  2. 이동하는 방법 (Navigation System)
  3. 정보를 찾는 방법 (Searching System)
    • 검색 범위를 설정
  4. 이름 붙이는 방법 (Labeling System)
    • 어려운 단어를 사용자 중심으로 전환
    • 정보가 가진 의미를 잘 전달할 수 있는지 확인

 

2. 아쉬운 점

- 잘 쓰여진 글이고, IA에 대해 이해도가 부족한 입장에서 정말 읽기 쉽고 도움이 되는 글이었다. 다만 예시로 적용된 디즈니랜드의 시각적 화면을 바로 볼 수 있었다면 좋았을 것 같다. 이 부분은 직접 찾아보며 분석하는 게 더 효과적일 것 같다.

- 개발자의 입장에서 IA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어떻게 소통할 수 있는지 있었다면 좋을 것 같다.

 

3. 마무리

- 시각적으로 화면이 어떻게 구성될 지 항상 생각해야 한다. 지금 당장 보기 좋은, 깔끔한 구조도를 만드는 게 목적이 아니라 실제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하기 편하고+정책을 지키고+중요한 정보의 우선순위를 깔끔하게 구분할 수 있는 화면을 만드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